공지
onemindwiki.kr 도메인이 곧 지원 종료됩니다.
1. 설명 ✎ ⊖
촌수가 6인 친척.
2. 분류 ✎ ⊖
오촌 문서를 먼저 참조하라.
2.1. 형제 ✎ ⊖
호칭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들의 통칭이 재종형제이다.
예시: 어머니의 고종사촌 남자 형제의 자녀는 본인의 외삼촌의 자녀이므로 앞에 외 자를 붙이고, 해당 외삼촌이 본인의 어머니의 고종사촌이니 내 자를 붙여여 외내재종형제라고 한다.
예시2: 아버지의 이종사촌 형제의 자녀는 본인의 친당숙의 자녀이므로 앞에 진 자를 붙이고, 해당 당숙이 본인의 아버지의 이종사촌이니 진이재종형제라고도 한다.
- 1. 당고모 자녀이면 앞에 내, 당숙 자녀이면 앞에 진, 당이모 자녀이면 앞에 이, 외당숙 자녀이면 맨 앞에 외자를 붙이고,
- 2. 본인의 부모 기준으로 본인의 부모의 사촌이 되는 해당 육촌 형제의 부모가 고종사촌이면 그 다음에 접사로 내, 이종사촌이면 앞에 이, 외사촌이면 앞에 외자를 재종형제 앞에 붙인다.
예시: 어머니의 고종사촌 남자 형제의 자녀는 본인의 외삼촌의 자녀이므로 앞에 외 자를 붙이고, 해당 외삼촌이 본인의 어머니의 고종사촌이니 내 자를 붙여여 외내재종형제라고 한다.
예시2: 아버지의 이종사촌 형제의 자녀는 본인의 친당숙의 자녀이므로 앞에 진 자를 붙이고, 해당 당숙이 본인의 아버지의 이종사촌이니 진이재종형제라고도 한다.
2.2. 조부모의 사촌형제 ✎ ⊖
- 재종조부: 조부모의 남자 사촌.
- 재존고모: 부모의 오촌고모.
- 재존이모: 부모의 오촌이모.
더 자세한 호칭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친할머니 사촌이면 앞에 진외-, 외할머니 사촌이면 앞에 외외, 외할아버지 사촌이면 앞에 외 자가 뒤의 증 자와 함께 붙는다.
- 2. 해당 육촌조부모가 본인의 조부모에게 어떤 사촌인지에 따라 그 다음에 접사가 붙는다.
예시: 외할아버지의 여자 고종사촌은 외할아버지 사촌이므로 앞에 외, 할아버지의 여자 내종사촌이므로 외증내재존고모라 한다.
2.3. 사촌형제의 손자 ✎ ⊖
위의 방식과 비슷하게 부르면 된다. 예를 들어 여자 고종사촌의 외손자는 내외재종손이 된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