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홍콩 입법위원 선거
최근 수정 시각: 2022-05-15 18:45:52
| 조회수: 4
공지
onemindwiki.kr 도메인이 곧 지원 종료됩니다.
알림
이 문서는 편집된지 1년이 넘었습니다. 현재와 맞지 않는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추적 : 2016년 홍콩 입법위원 선거
1. 개요 ✎ ⊖
2016년에 실시된 홍콩 입법회(국회) 총선.
2. 결과 ✎ ⊖
범민주파는 친중파에게 지고 말았다.
2.1. 친중파(40석) ✎ ⊖
2.2. 민주파(23석) ✎ ⊖
- 홍콩 민주당 - 7석
- 공민당 - 6석
- 인민역량 - 2석
- 공공단업연맹(공단련) - 2석
- 공당(노동당) - 1석
- 이웃과 노동자 서비스 센터 - 1석
- 홍콩 교육단업인원협회 - 1석
- 홍콩 민주민생협진회 - 0석
- 신민주동맹 - 0석
- 무소속 민주파 의원 - 3석
2.3. 본토파(6석) ✎ ⊖
2.4. 중간파(0석) ✎ ⊖
- 민주사로 - 0석.
- 홍콩 제3당(The Third Side) - 0석. 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선 1석으로 당선된다.
2.5. 무소속(1석) ✎ ⊖
3. 결론 ✎ ⊖
- 2014년 홍콩 우산 혁명 이후 2년 뒤 시행된 선거라 학생운동가 주역이었던 네이선 로가 당선된 의의가 있다. 이 선거 3년 뒤인 2019년 홍콩 지방선거에선 범민주파가 아예 의석을 쓸어간다.
- 중국이 조금씩 당황한 선거가 되었다. 이전에는 일국양제랑 항인치항을 강조하는 민주파만 당선이 되었다면, 이 선거에선 아예 분리주의를 주장하는 본토파까지 당선되었기 때문.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