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2dt/큐브 해법/큐브 기호 체계

최근 수정 시각: 2024-10-06 13:16:37 | 조회수: 18
공지 onemindwiki.kr 도메인이 곧 지원 종료됩니다.
2dt


목차

1. 기호 체계 목록
1.1. 큐식정음
1.2. LB식 기호 체계
1.3. 보들옹제 체계
1.4. 풍살기
1.5. 심플럭식 한글기호
1.6. 금이의 숫자 기호
2. 비교
2.1. 장단점 비교
3. 어느 것이 더 나은가?
4. 자작

우리가 많이 쓰는 알파벳 기호는 알파벳으로 구성되어서보다는 기호마다 띄어써야 해서 외우다가는 머리가 터져서가 더 크다. 즉, '오른쪽 위, 위 왼쪽, 오른쪽 아래, 위 오른쪽'으로 외울 바에는 차라리 'RUR-U-' 이렇게 외우는 편이 더 낫다.

1. 기호 체계 목록

1.1. 큐식정음

후술할 풍살기와 양대산맥을 이룬다.
여기를 참고하자. 여기서 에바, 참치는 각각 달, 물로 바꾸겠다. 이걸 보고 웃기다는 평도 있다.

필자가 추가한 파일:이대철DLC.png이 있다.

필자의 손길이 없었어도 충분히 나은 큐브 기호 체계이다.

1.2. LB식 기호 체계

일부분
회전기호가 가장 많은 큐브 기호 체계이다.

1.3. 보들옹제 체계

여기 참조.
필자는 이것을 보고 웃었다. 반대쪽을 ㅅ이 의미한다는 것이 웃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뒷면의 회전을 나타내는 기호가 방향을 헷갈리기 쉽다. 심플럭제와는 달리 M회전을 나타내는 기호가 있다.

1.4. 풍살기

여기를 보자.
큐식정음처럼 외워야 할 기호 수도 많지 않아, 쉽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어떤 면을 돌리라는지 부가 설명 없이 잘 알지 못한다.

1.5. 심플럭식 한글기호

여기 참조. 참고로 자음이 없는 부분은 ㅇ으로 대체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참고로 한글이 아닌 한자로 해서 외우는 방법도 만들어 볼 수 있다. 합자할 수 없으면 일부 한자는 생략하거나 한 뜻을 여러 한자로 나타내거나 하는 방법이 있다.(1)

1.6. 금이의 숫자 기호

여기 참조.
그런데 뒷면을 원 안에 11, 12로 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냥 !, @, #... 등등의 기호를 쓰면 된다.

2. 비교

  • 필요한 회전 기호: 풍살기는 모든 면의 회전을 나타낼 수 있지만 어느 쪽 면을 돌리라는지 따로 말해줘야 알고(특히 양쪽 면을 다 쓰는 공식),
큐식정음은 원래 여섯 면의 회전을 나타내는 기호 뿐만 아니라 정면과 뒷면의 회전을 나타내는 기호도 있었는데 필자가 나머지 중간층의 회전을 나타내는 기호를 더 추가한 것이다.(2) LB식은 진짜 없는 기호가 없다. 회전기호 수가 풍살기<심플락<큐식정음<LB.
심플락이 만든 체계는 아랫면, 뒷면의 회전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다.
  • 난이도: 풍살기<큐식정음≒심플락≒금이의 숫자 기호 체계<LB.
  • 공식의 길이: 금이=심플락<풍살기=큐식정음≒LB.
  • 보들옹이 만든 기호 체계는 언제나 LB와 큐식정음 사이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2.1. 장단점 비교

  • LB制: 3x3x3 큐브의 공식에 필요한 것이 다 있고, 외우기가 조금 쉽고, 특수 큐브의 공식을 암기하는데 쓰기도 좋고 고급 공식에 적합하지만 외워야 할 기호 수가 매우 많다.
  • 큐식정음: LB가 만든 회전 기호 체계처럼 외워야 할 기호 수가 많지도 않다. 단점은 딱히 없는 것 같다.
  • 풍살기: 외워야 할 기호 수가 적어서 좀 쉽지만, 어느 면을 돌리라는지 구분이 안 간다.
  • 심플락: 공식을 짧게 표현할 수 있지만 뒷면과 아랫면의 회전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어 고급 공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 보들옹제: 웃긴 큐브 기호가 있다. 그런데 뒤를 돌리라는 기호가 없다.
  • 금이의 숫자 기호 체계: 외국에서도 쓸 수 있고, 공식 입력을 빨리 할 수 있다. 그런데 두 자리 숫자가 있어 어렵다.

3. 어느 것이 더 나은가?

이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고, 상황에 따라 쓰면 된다. 하지만 이 큐브기호 체계들이 힘을 합치면 더 도움이 된다.

4. 자작

/자작 참조.
(1) 악보에다가 적용하면 어려울 것 같다.
(2) 다시 말해 큐식정음과 필자와의 관계가 음악과 헨델과의 관계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